2021년 4월 23일 금요일

얼라이먼트 장비 호프만 으로 바꿔서 측정

얼라이먼트 장비 호프만 으로 바꿔서 측정

얼라이먼트 장비 호프만 으로 바꿔서 측정

자동차

2021-04-23 19:21:09


기존 8차례 얼라이먼트는 모두 미국산 '헌터' 장비 였음. 국내 얼라이먼트 가게의 6~70% ? 정도가 헌터 장비이고, 20% ? 정도가 독일산 '호프만' 장비, 그외 마이너 업체들...

 

보통 알려진게 헌터가 가장 정확도가 높다고 되어 있으나,.. 여러 얼라이먼트 가게 돌아 다니면서 조정 받아 본 결과, 꼭 그렇지 많은 않아 보인다. 측정시 마다 오차 범위 이상으로 차이 나는 곳이 더러 있었음.

 

어쨋든 증상은... 수차례 얼라이먼트를 봐도 오른쪽으로 계속 쏠린다. 얼라이먼트 조정시 제조사 권장값으로 토우 영점을 완벽하게 조정했음에도.. (캠버/캐스터 값 모두 정상 범위) (조향각영점 반대방향으로 해도 쏠리므로, 조향각영점과 관련없는)

 

이번에는 혹시나 얼라이먼트 장비 문제? 라는 생각에 처음으로 호프만 장비로, 다시 측정했을때, 기존 '전륜 토우' 값이 좀 다르다. 기존 헌터값이 토우가 오른쪽으로 쏠리는 것으로 되어 있는걸로 나온다.? (운전석이 토우인 이거나 또는 조수석이 토우아웃 이거나)

 

현재 호프만 장비로 얼라이먼트 조정후, 쏠림 현상이 거의 없어졌다.?

 

> 미세하게 우측 쏠림은 남아 있는데, 이게 얼라이먼트? 하체? 때문인지 MDPS? 때문인지 알길이 없음..

> 좌우 대칭이면 한쪽으로 쏠리지는 않는데,. 그런데 위 조정 결과는 싼타페DM 제원값 보다 앞뒤 모두 토우인 으로 되어 있는건가.? 토우인 되어 있으면, 노면 접지력이 줄기 때문에 그로 인해서 직진성과 핸들링이 쉬워지는 효과를 봄..

> 고속도로 주행 테스트를 해보니, 고속 주행시 노면 접지력이 줄어 불안해짐. 100k 달리면 140~150k 달리는 느낌이 듬.. 아마도 토우인 때문인듯 함.. (재조정필요)

 

만약에.. 나중에 헌터로 얼라이먼트 봤는데 안쏠린다.? 그러면... 너클 문제로 봐야 할듯..?

얼라이먼트 시행 전 작업 사항 : 너클 교체 / 핸들 좌우 최대 회전각 최대한 동일하게 조정 (핸들 샤프트 톱니 코)

 

그런데! 이렇게 쏠림이 거의 없어져도 오른쪽 꺽은 후 핸들 센터 복원력은 하는듯 마는듯 하는 건 여전히 변함이 없다. 그리고 조향각영점 기준 오른쪽으로 대략 +5도 이내에서는 힘 없이 휙 꺽이는 현상 등.. 아마도 플라스틱기어와 웜기어 사이에 뭔가 마찰이 좌우 방향이 다르거나, 모터 좌우 회전 토크가 다르거나... 아무튼 이건 MDPS 문제가 확실함.

 

 

2021.04.26 

위의 앞뒤 모두 토우인으로 되어 있던것을, 산타페DM 제원(기본)값으로 다시 얼라이먼트 조정.  왜 제원값 보다 더 토우인으로 되어 있냐고 하니 이유는 그냥 정비사 재량이라고 함... (고객이 특별히 요구하지 않았는데도... 사전 설명도 없이 임의 조정하는건.. 좀...)

 

싼타페 DM 제원값

   전륜 캠버/캐스터/토우 : -0.50º / +4.14º / +0.05º (0.6mm?)
   후륜 캠버/토우 : -1.00º / +0.10º (1.2mm?)

 

 

2021.05.02

고속도로 고속주행시, 예전 처럼 다시 속도가 올라갈수록 좌우로 휘청이는 느낌이 생겼다 (앞바퀴가 자기 맘대로 좌우로 왔다갔다 하는 듯한). 대략 80k 이상 부터 느낌이 들기 시작하고, 110k 정도 주행쯤 가면 차가 너무 빨리 나간다 엄청 과속하고 있는 듯한 불안감이 슬슬 들기 시작..

 

이 느낌이 예전에도 있었는데, 쇼바/로어암 교체후 증상이 줄었음 (복합적으로 여러가지 해봤으니깐 꼭 하체 문제라 단정짓기도  어렵고, 이런 느낌이 다시 드는 이유는 새로 생긴 증상이 아니라, 그동안 덮혀져 있던것?)... 그런데. 이런 주행감은 원래 산타페DM 종특 인가...? 소형 SUV 보다도 더 불안정..

 

2021.05.03

스캐너로 조향각센서초기화, 조향각영점초기화, 조향감토크초기화. 이렇게 3가지 다시 세팅 진행해봄. 나중에 고속도로 주행할때 변화점이 있는지 다시 체크 예정.

 

 


2021년 4월 22일 목요일

MDPS 핸들 좌우 무게감(답력), 쏠림, 센터 복원력 차이가 있는 경우

MDPS 핸들 좌우 무게감(답력), 쏠림, 센터 복원력 차이가 있는 경우

MDPS 핸들 좌우 무게감(답력), 쏠림, 센터 복원력 차이가 있는 경우

자동차

2021-04-22 11:55:47


점검 해볼 필요가 있는 순서대로..  정리 해 보면..

 

 

1. 핸들 부터 바퀴까지 유격이나 소음이 있는지 확인

 > 소음 발생 부위 확인하여 조치 (MDPS, 웜기어, 로어암, 쇼바, 허브베어링, 등속조인트, 스테빌링크 ...)

 > 주로 커플링, 핸들 웜 샤프트 볼트, 웜기어..

 > 로어암부싱, 멤버부싱, 각 부품 볼조인트, 쇼바마운트, 스테빌링크 유격 등

 

2. 얼라이먼트 를 봐서 쏠림 차이를 유발하는 요소가 없는지 확인

 > 얼라이먼트 직진 영점에 토우/캠버 최대한 맞춤. (커스텀 조정 말고, 제원 영점값으로)

 > 캠버/캐스터 값이 안나오면 로어암/쇼바/너클 등의 하체 부품 교체도 검토.. 

 > 얼라이먼트 측정값 외, 실제 좌우 캠버/캐스터 볼트 위치도 서로 비교해 봐야 함..

 > 헌터 <> 호프만 교차해서 얼라이먼트 진행은 꼭 해볼 필요 있음. (장비 오차 가능성 생각보다 흔함)

 > MDPS 나 웜기어,타이어 등 문제가 없다면, 주행시 복원력은 전후 캠버/캐스터 값에 좌우됨..

 > 얼라이먼트 측정값에서 '셋백' '옵셋' 값이 최대한 영점에 가깝게 조정되어야 함.

 > 서브멤버/쇼바 장착시, 한쪽으로 쏠려서 장착된 경우, 셋백/옵셋 문제도 있음 (볼트 홀 유격이 있기 때문)

 

3. 조향각영점/조향감토크영점 초기화 (+얼라이먼트 동시작업)

 > 스캐너로 조향 관련 오류 뜨는지 체크하는건 가장 기본..

 > 얼라이먼트 직진 핸들 위치와 조향각영점 핸들 위치가 완벽하게 동일 위치이어야 함. 다르면 쏠림 발생..

 > MDPS 조향각영점/조향감토크 용어 자체도 뭔지도 모르는 블루핸즈/얼라이먼트 점은 비추.

 > '조향감토크영점' 도 같이 하는것 권장 (조향감토크 필요없다 하는데는 MDPS 기본도 모르는 곳)

 > MDPS 조향각초기화도 같이 해주는, 얼라이먼트 가게 이용 권장 (안해주는곳은 비추)

 

4. 타이어 위치 교환 및 휠밸런스

 > 좌우, 앞뒤, 교차 등등.. 해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 변화가 있다면 타이어 코니시티/편마모 문제 높음.

 > 편마모 또는 코니시티 현상에 의해서, 쏠림이나 흔들림 발생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음.

 > 휠밸런스는 일반이 아닌 진동밸런스 권장 (헌터로드밸러스권장. 일반보다 좀 더 비쌈)

 

5. 후륜(리어) 서스펜션 유격/불량 점검

> 얼라이먼트 및 하체를 다 바꿔도 여전히 쏠림이 발생한다면, 후륜 하체에 문제 가능성 높음.

> 얼라이먼트 상에선 후륜이 영점 정상이어도, 주행시 하체 유격에 의해서, 토우/캠버가 틀어질수 있음.

> 얼라이먼트 작업시, 후륜을 먼저 정렬 작업하는 이유도, 후륜이 틀어져 있으면, 전륜이 아무리 정확해도 쏠리게 됨.

> 후륜 '캠버,토우볼트/로어암/어시스트암/어퍼암/트레일링암/쇼바' 등 부품 점검 및 교체 

 

6. MDPS 구리스 주입 (가능성 낮음)

 > MDPS 하우징 내부 플라스틱 기어 윤활 부족 고착 여부 (일명 자석현상 와리가리현상. 주로 겨울철 현상 증가)

 > 구리스를 넣어도 핸들 회전 질감에 변화가 없다면 다른 부분에 문제..

 

7. MDPS 모터 파워 또는 플라스틱 기어 마찰력 차이 (가능성 낮음)

 > 스캐너로 좌우 동일 조향시 모터에 전달되는 전원 및 토크 차이가 있는지 테스트.

 > 웜샤프트 와 플라스틱 기어가 맞물릴때 회전면 마찰력이 서로 달라서, 무게감에 차이를 발생?

 > 유의미 하게 좌우 하게 차이가 있는 경우 교체가 필요한데, 블루핸즈나 카센터 가면 컬럼하우징/모터/컨트롤러간 원인 확인이 어렵다며 MDPS 앗세이 통교체 조치를 하고 있음.. (보통 부품값만 70만원선)

 

 

혹시, 핸들 무게감 좌우 차이가 있나요..?

어떤 상황(경우) 후에, 핸들 좌우 무게감 차이가 발생한것인가요?

그리고 만약 해결되었다면 어떻게 해결된것인지, 댓글로 코멘트 해주시면,

같은 어려움을 겪는 여러 분들에게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2021년 4월 18일 일요일

조수석 너클/허브베어링 교체

조수석 너클/허브베어링 교체

조수석 너클/허브베어링 교체

자동차

2021-04-18 23:30:33


2021.04.21

조수석쪽 너클+허브앗세이 교체

 

1. 싼타페15   51750C5000  51750B 허브 어셈블리  54,120원

2. 싼타페15   527552E000  52752 볼트-허브  913원

3. 싼타페15   545612B100  54561D 볼트  880원

4. 싼타페15   517162W500  51716 너클-프론트 액슬,우측  65,560원

 

공임은 대략 6만원~10만원?

 

캠버가 0.2도 차이인데, 과연 관련이 있을까..?

 

여러가지로 테스트 해본 바, 쏠림이나 센터복원에 있어서 MDPS 가 하는 역할은 크지 않다는 것.. 핸들 조작을 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특히나 작동이 거의 미미 함. (MDPS 세팅에 따라 다를수 있으나, 국내 현대기아차 MDPS 는 그래 보임)

 

테스트 해보면, 핸들 놓고 센터 복원시 MDPS 모터에는 대략 2A 정도만 약한 파워만 들어감. 사람이 핸들 조향 꺽을때 20~30이상A 이상 큰 파워가 들어가는걸 비교하면... (영점에 다다를수록 1A 그리고 영점에선 아예 파워 안들어감)

 

얼라이먼트 직진 정렬(=조향각영점 일치시켜 놓아야 함) 으로의 복원에서는, 하체 구조(캠버/캐스터/토우) 로 인한 복원이 90% 이상이고 나머지는 MDPS 에서 조향각영점으로 스스로 이동하기 위한 약간의 보조적인 힘만 줄 뿐..

 

그래서 MDPS 조향각영점/조향감토크영점 을 이리저리 여러 각도로 설정해봐도, 그리고 얼라이먼트를 여러번 조정해도, 한쪽으로만 쏠리는 증상이 동일하다면 하체 부품 문제로 보는게 맞는것 아닌가.? (타이어에 이상이 없다는 조건) ...

 

얼라이먼트에서 기준값 허용 범위 이내 (녹색 범위) 라고 해도... 영점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차종별 하체 세팅에 따라서 크게 영향 받는 차가 있고, 거의 영향 없는 차들도 있고... (타이어가 광폭일수록, 휠인치가 클수록 영향이 더 있는건가..?)

 

너클/허브베어링 교체후) 미세한 차이로 오른쪽 쏠림이 줄었다. 여기 저기서 바퀴 유격 점검을 해봐도, 유격 있다고 하는곳은 한군데도 없는데도 말이다. 너클/베어링 교체후 오히려 캠버값은 더 작아졌다. 그런데 쏠림은 줄었다.. 뭐지? 도대체 ...?

 

(구품)

(신품)

 

 

 


2021년 4월 3일 토요일

싼타페 프라임 MDPS 탈거해서 분해 확인

싼타페 프라임 MDPS 탈거해서 분해 확인

싼타페 프라임 MDPS 탈거해서 분해 확인

자동차

2021-04-03 19:07:45


2021.04.03

 

유튭이나 카페에 있는 MDPS 분해기 처럼 동일하게 분해 해봄.. 동영상 보고 사전 뇌학습을 하긴 했으나, 그래서 그런지 대부분 작업 단계는 그냥 어렵지 않게 탈거 작업을 함.. 공작 좋아하는 손재주 센스 있는 사람은 전혀 어렵지 않음.. 단지 , 이거 풀었다가 더 고장나면 어떻게 하지? 라는 두려움만 있을 뿐...

 

처음 해보는 거라서 MDPS 앗세이 고정하는 14mm 볼트 푸는데 엄청 애먹음... 이 볼트가 눈에 안보이는 안쪽에 있어서 더 힘들다. 전에 이미 컬럼은 한번 교체된적있는데 사업소에서 엄청나게 세게 잠궈 놓은듯..  탈거시 이 볼트 풀고, 다시 장착할때 이 볼트 잠그는 작업이 가장 힘들고 까다로운 부분이긴 하다.

 

플라스틱 기어까지 모두 분해해 보니, 지난번에 구리스 충전해 놓은게 너무 많이 넣은건지... 떡칠해 져 있음.... ㅎㅎㅎ 구리스 많이 넣을 필요가 없단 얘기. 많이 넣어도 옆으로 죄다 삐져 나가므로.. 삐져 나간 구리스는 의미가 없어짐.

 

기존에 주사기로 넣었던 구리스 모두 깨끗이 닦아 냄..

 

플라스틱 기어 부분 구리스 닦아 내다 보니, 기어 사이 안쪽면에 한쪽은 깨끗하고 한쪽은 약간 검은 때가 있던데 (쇠뭉치 기어와 맞닿는 면이 왼쪽 방향 핸들 회전 같음), 혹시 이것 때문에 마찰력이 달라져서 좌우 핸들 감김 힘 차이가 발생한건지..?..

 

커플링도 이상 없는듯.

 

 

일명 자석현상 그런건 없었는데, 구리스 넣기 전에는 정말 핸들이 엄청 무거웠고 구리스 주입후 정말 부드러워져서 구리스 효과는 확실히 있음! MDPS 컬럼 하우징을 교체한지 1년 밖에 안된건데도 그렇다는!! 구조적으로 잘못된 설계라는 뜻.. (MDPS 뜯어보니, 사업소에서 보증수리 교체해준 하우징이.. 중고 부품이 아닌가 의심이 듬..)

 

탈거한 이유는... 구리스 주입으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고, 핸들 돌릴때 왼쪽 방향은 무겁고 오른쪽 방향은 가볍고... 그렇게 센터 복원도 차이 나고... 주행시 오른쪽으로 쏠리고... 이게 핵심 증상.

 

전체적으로 좌우 차이를 확연하게 느끼기 어렵지만, 무전원 회전시 모터 내부 자석 저항? 이 원래 있는건가...? 아무튼 왼쪽 오른쪽 회전시 약간 차이가 있는듯 하고 그냥 별 차이 없는것 같기도 하고... 애매 모호... 원래 이런건지 아니면, 모터 내부 베어링이 맛이 간건지..

 

그런데! 샤프트를 좌우로 계속 돌려보다 보면, 조향각(검은색원통) 고정 날개가 하우징과 1mm 정도 유격이 있어서, 그 유격 만큼 회전 방향에 따라 살짝 계속 움직인다. 혹시 이것 때문에 오른쪽으로 쏠리고, 센터복원이 안되는것일까.? 왜냐면 핸들 움직일때마다 조향각 0점이 계속 변하게 되므로... (정말 이게 원인이면, MDPS 설계상 결함)

 

일단 위 처럼 날개 고정 부분과 하우징 사이에, 플라스틱 필름을 잘라서 유격이 없게 만들어 놓았다. (혹시라도 떨어져 움직이지 않게 실리콘으로 덧 발라 놓음)

 

모터도 부품값만 15만원 하는 무시 못할 가격... (카센터에 맡기면 추가로 공임 15만원 이상 줘야 함)

 

 

2021.04.05  

혹시나 해서 모터앗세이(563302W800) 및 커플링(56380C1500) 구매 주문함 (재고 부품이 아니라서, 발주 수급에 1일 정도 소요된다고 함) > 박스에는 부품번호가 있지만, 모터에 부품번호 스티커가 없어서 판매 대리점이나 모비스에 물어봤으나 서로 모르겠다고 하여, 그냥 반품함...

 

2021.04.09

탈거했던 MDPS 정비 후, 차에 다시 장착.

핸들 돌리지도 않았는데, 핸들 정렬후 조향각 체크해 보니 180도 돌아가 있는걸로 나옴.. 이게 원래 이런건지.?. 아무튼 조향각 초기화 다시 필요.

 

2021.04.10

오른쪽 쏠림 / 핸들 센터 복원 문제는.. MDPS 구리스 문제는 아닌게 거의 확실하고, MDPS 모터 토크 차이나 하체 문제 가능성이 좀 더 있는것 같은데, 이미 상당 부품을 교체한터라.. 해결되지 않아서 지긋지긋 하다.  하체 부품중 교체 안해본건.. '너클/허브베어링' 앗세이. 등속조인트나 캘리퍼고착도 가능성이 있다고는 하지만.. 카센터에서 흔들어보고 돌려봐도 이상은 없다고 하는 거고..

 

2021.04.15 

스테빌라이저바 교체. 핸들 좌우 끝까지 돌린후 되돌림 반동은 양쪽이 비슷해 진것 같은데, 센터 복원 속도 차이는 여전 함.. 정말로 MDPS 모터나 컨트롤러 문제인가 싶다..